KOSIS 국내통계포털에 의하면
전체 일반가구 중 1인 가구의 비율은
2018년을 기준으로 29.27% 이다.
전체 일반가구 수가 19,979,188이고
이 중 1인가구 수가 5,848,594 이다.
1인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이들을 특정하여 공략하는 마케팅 방법은 이미 여러 형태로 시도 되고 있다.
그 중 유튜브는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의 최적화된 채널로 인식되어진다
Think with Google의
1인가구 소비자 인사이트 자료에 의하면
1인 가구의 디지털 콘텐츠 이용 시간은
일 평균 3시간 03분이며, 이는 TV 시청 시간 보다
약 20% 높은 수준이다.
대부분의 콘텐츠 소비는
업무 종료 시간인 6시부터 자정까지 가장 활발하며
TV와는 다르게
시간, 공간 제약 없이
능동적인 시청을 할 수 있는 점이
디지털 컨텐츠를
더 많이 소비하는 주된 이유로 언급되었다.
1인 가구의 92%가 YouTube를 매주 시청하며,
그중 35%는
매일 YouTube를 이용하는 헤비 사용자이다.
YouTube 일 평균 시청 시간은 전체 디지털 콘텐츠 사용 시간의 약 1/3을 차지할 정도로,
YouTube는 1인 가구의 삶이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매김하였다고 언급하였다.
특히 주목할 부분은,
취업 및 진로에 대해 고민하는 1인 가구 5명중 3명은
YouTube의 다양한 시사, 공부,
자기계발, 재테크/부동산 컨텐츠를 소비하는데,
YouTube 컨텐츠가 지식 수준을 높여줌과 동시에
삶의 목표를 세우는 계기가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.
이러한 부분들을 고려해 봤을 때 ,
1인 가구의 재테크 성향과 방식을
고려한 컨텐츠 제작이
꽤 효과적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.
현재, 우리 회사(경매정보제공 플랫폼)에서
진행하고 있는 유튜브 컨텐츠의 경우
아파트 물건 추천이나 어려운 경매 용어 설명
위주로 컨텐츠가 제작되고 있는데
1인 가구가 관심을 가질만 한
컨텐츠에 대한 고민을 깊게 해보고
그들을 타겟팅 하여
새로운 컨셉의 컨텐츠를 제작해 보는 것도
매우 재밌는 프로젝트가 될 것 같다.
- 참고칼럼링크 -
[책 추천] 그로스해킹 - 라이언 홀리데이 (0) | 2020.03.30 |
---|---|
[GA]이 달의 목표달성치 설정하기( 계산된측정항목 설정, 맞춤대시보드 만들기 ) (0) | 2020.02.29 |
[Books] 트렌드코리아 2020 , 핵심요약/응용 (0) | 2020.02.04 |
[Hotjar] Tracking Code심기, Heatmap 생성과 다운로드 (3) | 2020.01.04 |